728x90
반응형

전체 글 206

추천시스템 7 - 인구통계

추천시스템 본 포스팅은 Minnesota대학교의 Intro to Recommender Systems코세라 강좌를 정리한 내용입니다. https://www.coursera.org/learn/recommender-systems-introduction?specialization=recommender-systems 서론 기술통계의 방법론(인기도, 평균 등)을 사용하면 쉽게 일반적인 추천을 만들어 낼 수 있지만, 개인화가 없다면 추천법이 효과적이지 않을 수 밖에 없다. 첫번째 개인화의 방법으로 약한 개인화의 방법인 인구통계적인 방법론을 이야기 할것이다. 인구통계 인기도는 개개인의 선호도가 전혀 반영되어 있지 않은 정보이다. 예를 들어 빌보드에 인기있는 음악들은 젊은 사람들의 선호도로 가득 차 있을 수 밖에 없다...

머신러닝 공부 7 - 정규방정식

머신러닝 본 포스팅은 Andrew Ng교수의 Machine Learning 코세라 강좌를 정리한 내용입니다. https://www.coursera.org/learn/machine-learning 정규방정식 정규방정식 이란 특정 선형 문제에서 파라미터값인 θ를 더 쉽게 풀 수 있게 만들어주는 방법이다. 지금까지의 경사하강법에서는, Global Minimum을 찾기 위해 많은 스텝들을 밟아야 했다. 하지만 정규방정식은 이것을 분석적으로 풀 수 있게 해준다. 경사하강법의 많은 반복을 하기보다, 분석적으로 θ값의 해를 구하면 한번에 구할 수 있다는 말이다. 예제) 변수가 많지 않은 아래 2차 방정식 수식을 보자. 위의 수식을 minimize하려면 미분 값을 구한 다음, =0을 하고 θ로 풀면 된다. 하지만 많은..

머신러닝 공부 6 - 경사하강법 트릭

머신러닝 본 포스팅은 Andrew Ng교수의 Machine Learning 코세라 강좌를 정리한 내용입니다. https://www.coursera.org/learn/machine-learning 경사하강법이 더 좋은 성능을 내기 위해서 취하는 몇가지 트릭이 있다. 특성 스케일링 특성 스케일링이란, 여러 특성이 있는 문제에서, 여러 특성들이 비슷한 스케일에 있게 만들어 주는 기술이다. 여러 특성을 비슷한 스케일로 맞춰준다면, 경사하강법이 더 빠르게 끝날 수 있다. 예제) 특성 $x_{1}$과 $x_{2}$가 있다. $x_{1}$ = 집의 크기 (0 - 2000 feet^2) $x_{2}$ = 방의 수 (1 - 5) 이전 강의에서 위와 같은 그래프를 기억할것이다. 만약 특성1과 특성2의 스케일이 차이가 많이..

추천시스템 6 - 기술통계

추천시스템 본 포스팅은 Minnesota대학교의 Intro to Recommender Systems코세라 강좌를 정리한 내용입니다. https://www.coursera.org/learn/recommender-systems-introduction?specialization=recommender-systems 비개인적 추천 비개인적 추천을 왜 하는가? 새로운 유저는 개인화 할 수 있는 정보도 별로 없으니 이들을 위해 처음부터 시작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심플하고 빠르지만, 이점이 많다. 온라인 매체들 중 이러한 방법론을 사용하는 곳이 많이 있다. 개인화가 불가능하거나 힘든 곳에서 사용한다. 약한 개인화 우편번호, 대략적 위치 나이, 성별, 국적, 민족성 이러한 정보들은초반의 정형화된 추천을 하기에 매우 적합..

머신러닝 공부 5 - 다중 선형 회귀

머신러닝 본 포스팅은 Andrew Ng교수의 Machine Learning 코세라 강좌를 정리한 내용입니다. https://www.coursera.org/learn/machine-learning 다중 선형 회귀 기존의 선형회귀에서는 하나의 입력 x값과 예측값 y값이 존재했다. 집값 예측 예제로 다시 돌아가보자. 현실 세계의 문제에서는 집의 크기만이 집값을 결정하지 않는다. 아래의 표를 보면, 집값은 크기 외에도, 방의 숫자, 층의 숫자, 연식 등의 정보들이 모두 가격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앞선 포스팅에서 이야기 하였듯이, 이런 여러 변수들을 $x_{1}, x_{2}, x_{3}$와 같은 방식으로 표기하도록 하겠다. 몇가지 변수들을 더 정의해보면: n은 특성의 갯수를 의미한다. 위의 예제..

추천시스템 5 - 추천 알고리즘

추천시스템 본 포스팅은 Minnesota대학교의 Intro to Recommender Systems코세라 강좌를 정리한 내용입니다. https://www.coursera.org/learn/recommender-systems-introduction?specialization=recommender-systems 추천 알고리즘의 종류 기본적인 모델 추천 모델에는 다음과 같은 원소들이 있다. 사용자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들 아이템에 대한 선호도를 가지고있다 아이템 추천을 시행할 대상이다. 평점 사용자가 아이템에 대해 표현하는 선호도이다. (커뮤니티) 사용자들이 표현하는 의견들이 통용되는 공간(커뮤니티) 이다. 사용자는 개개인의 속성(특성)을 가지고 있고, 그 속성에 기반해 사용자모델이 만들어진다. 사용자 모델..

추천시스템 4 - 추천의 분류

추천시스템 본 포스팅은 Minnesota대학교의 Intro to Recommender Systems코세라 강좌를 정리한 내용입니다. https://www.coursera.org/learn/recommender-systems-introduction?specialization=recommender-systems 추천의 분류 추천시스템을 고안할 때는 다음 8가지 분류를 고려해 고안한다: 추천의 도메인 추천의 목적 추천의 맥락 추천의 제안자 개인화의 정도 개인정보와 신뢰도 인터페이스 추천 알고리즘 추천의 도메인 무엇이 추천이 되고있는가? 기사인가, 물건인가, 상품인가? 사람을 추천하는 중인가? 연속적인 무언가 (음악 플레이리스트) 인가? 오래된 아이템을 대하는 방법 어떤 도메인에서는 새로운 아이템을 추천하는데에..

추천시스템 3 - 예측과 추천

추천시스템 본 포스팅은 Minnesota대학교의 Intro to Recommender Systems코세라 강좌를 정리한 내용입니다. https://www.coursera.org/learn/recommender-systems-introduction?specialization=recommender-systems 예측 추천시스템에서 사용자가 한 아이템을 얼마나 좋아할것인가를 예측하는 값. 대부분 사용자의 평점과 맞아 떨어진다. 검색이나 서핑과 밀접한 관계에 있다. 코세라에도 사용자가 이 강의를 얼마나 좋아할 것인지에 대한 예측값이 있다. (사용자의 프로필과는 연관성이 없음) 추천 추천은 예측값과 같이 이만큼 좋아할 것이다 라는 대담한 추측을 하지는 않는다. 추천이란 사용자가 한 아이템을 좋아할 것이라고 제안하..

추천시스템 2 - 선호도

추천시스템 본 포스팅은 Minnesota대학교의 Intro to Recommender Systems코세라 강좌를 정리한 내용입니다. https://www.coursera.org/learn/recommender-systems-introduction?specialization=recommender-systems 서론 지난 강의에서 비개인적추천에 대해서 이야기 했다. 비개인적추천이란 사용자의 선호도가 고려되지 않은 추천이다. 이번에는 개인적추천과 비개인적추천 모두에 사용되는 데이터가 어떻게 발생되고 모아지는지에 대해서 이야기 한다. 추천을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어떤것을 좋아하는지에 대한 데이터와 어떤것들이 연관성이 있는지에 대한 데이터가 필요하다. 많은 시스템들에서 이러한 데이터들은 어떠한 방식으로든 사용..

머신러닝 공부 4 - 경사하강법

머신러닝 본 포스팅은 Andrew Ng교수의 Machine Learning 코세라 강좌를 정리한 내용입니다. https://www.coursera.org/learn/machine-learning 문제설정 J라는 함수가 있다고 하자, 우리는 이 함수를 minimize하는 알고리즘을 만들고자 한다. 먼저 θ0 과 θ1에 초기값 을 설정한다 그리고 θ0 과 θ1 가 minimum에 닿을 때 까지 J( θ0, θ1)를 감소시키고, θ0 과 θ1값을 갱신한다. 경사하강법 과정 설명 이 함수를 minimize하고자 한다고 하자. 먼저 θ0 과 θ1에 초기값 을 설정하고 시작한다. 가장 위의 그래프의 점이 θ0 과 θ1 의초기값이고, 내가 거기에 서있다고 가정해보자. 여러 방향을 살핀 뒤 한발을 밑으로 딛고 내려간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