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입신고 2

[경매 강의 요약] (8) 권리분석 찾기

안녕하세요, 금융덕후입니다.지난 포스팅들에서는 권리분석을 하기 위해 임차인의 권리를 알아보았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어떻게 임차인의 권리를 찾아 분석하는지를 정리하였습니다. 권리분석 찾는 순서첫번째 순서는 말소기준권리를 찾는 것입니다.먼저 날짜순으로 정렬하고 근저당권이, 저당권 혹은 가압류를 찾습니다. 두번째는 임차인을 찾는 것입니다.임차인을 찾았다면 해당 임차인이 선순위인지 후순위인지 파악합니다.임차인이 선순위인지 파악하려면 임차인의 전입날짜를 찾아야 합니다.그리고 찾아낸 임차인이 위에서 알아보았던 말소기준권리보다 빠른지 늦는지 파악해야 합니다. 세번째 순서는 임차인의 배당 순위를 알아보는 것입니다.임차인이 전입신고는 하였는지, 그리고 확정일자를 받았는지 파악합니다.전입신고와 확정일자가 모두 있다면 배..

[경매 강의 요약] (6) 대항력의 모든 것

대항력임대차보호법 3조에는 대항력에 대해 나와있습니다.전입신고란 주소를 옮기면 동사무소(주민센터)에 주소를 이전 했다는 신고하는 절차입니다.전입신고를 하면 제삼자에 대한 효력이 생기는데, 이것을 대항력이라고 합니다.제삼자란 저당을 잡은 은행이나 경매 낙찰자를 말합니다.전세 계약을 하더라도 전입신고를 하지 않으면 임차인이 아닙니다.정확이는 법적으로 임대차보호법에 보호받는 임차인이 되지 못하는 것입니다. 선순위 vs 후순위그렇다면 대항력은 언제 발생할까요?대항력은 낙찰자에게 대항하는 권리라고 했습니다.경매사건에는 최처 근저당이나 가압류, 즉 말소기준권리가 있습니다.임차인의 전입 날짜가 말소기준권리보다 빠르다면 대항력이 생깁니다.만약 전입 날짜가 말소기준권리보다 늦다면 후순위가 되어 대항력이 없는 권리가 됩니..

1
728x90
반응형